MRI 급여 대비 "자구책 찾자" 비상
페이지 정보
본문
MRI 급여 대비 "자구책 찾자" 비상
병원계, 손실보존 위해 대기시간 단축등 분주…"대폭 삭감되나" 푸념
내년부터 MRI 수가가 급여로 전환돼 현재 60% 수준에 머물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인 가운데 병원계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대형병원의 경우 MRI가 병원 경영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최대 4%선에 이르고 있는 상황에서 경영 악화를 막기 위한 자구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보건복지부가 여전히 급여범위는 물론 세부적인 급여 인정기준조차 마련하지 못하면서 급여전환에 대한 피해를 병원계가 떠안는 것이 아니냐는 불안감도 확산되고 있다.
7일 병원계에 따르면 MRI 급여전환에 따른 연간 손실액이 대형병원의 경우 30여억원에 이르는 상황에서 이를 보전하기 위해 MRI 촬영횟수를 최대한 늘리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간 촬영건수가 4500여건에 이르는 대학병원 관계자는 "MRI 급여전환으로 수가가 대폭 인하될 것이 분명한 상황에서 특별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겠냐"면서도 "낮아진 수가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MRI 촬영횟수를 늘리는 수밖에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도 MRI는 24시간 가동되고 있지만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며 "MRI 촬영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 대한 분석이 현재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일부 대형병원에서는 MRI 촬영횟수를 늘리기 위해 환자대기 시간 단축, 이동거리 최소화 등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MRI 촬영시간이 제한된 상황에서 촬영횟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촬영 전후 대기시간을 줄이는 방법 밖에는 없다"며 "환자들이 최대한 빠르게 순환될 수 있는 방법을 병원 차원에서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MRI 급여가 질병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뤄지면서 이에 따른 급여대상자와 비대상자의 오해의 소지를 줄이기 위해 의료진 및 직원들의 교육을 강화하는 병원들도 늘고 있다.
다른 대학병원 관계자는 "MRI 급여가 순차적으로 이뤄질 경우 비급여 대상자들의 불만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불필요한 오해를 줄이기 위해 급여전환과 관련된 사항을 의료진이나 행정지원 직원들이 설명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병원계 내부에서는 이러한 자구책들이 별다른 실효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는 자조적인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검사건수를 늘릴 경우 대규모 삭감이 뒤따를 것이라는 예상이 제기되면서 정부의 생색내기를 위해 병원을 희생양으로 삼고 있다는 불만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MRI 급여전환으로 40여억원의 손실을 예상하고 있는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현재도 MRI의 가동률은 100%를 훨씬 넘어서고 있다"며 "검사건수를 늘리기 위한 방법을 짜내고 있지만 현재 상황에서 얼마를 더 늘릴 수 있겠냐"고 털어놨다.
그는 "검사건수 늘리기로 인해 MRI 촬영에 대한 의학적 타당성 논란이 발생할 수도 있다"며 "결국 병원계의 자구책이 재정부담을 줄이기 위한 대규모 삭감으로 돌아오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병원계, 손실보존 위해 대기시간 단축등 분주…"대폭 삭감되나" 푸념
내년부터 MRI 수가가 급여로 전환돼 현재 60% 수준에 머물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인 가운데 병원계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대형병원의 경우 MRI가 병원 경영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최대 4%선에 이르고 있는 상황에서 경영 악화를 막기 위한 자구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보건복지부가 여전히 급여범위는 물론 세부적인 급여 인정기준조차 마련하지 못하면서 급여전환에 대한 피해를 병원계가 떠안는 것이 아니냐는 불안감도 확산되고 있다.
7일 병원계에 따르면 MRI 급여전환에 따른 연간 손실액이 대형병원의 경우 30여억원에 이르는 상황에서 이를 보전하기 위해 MRI 촬영횟수를 최대한 늘리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간 촬영건수가 4500여건에 이르는 대학병원 관계자는 "MRI 급여전환으로 수가가 대폭 인하될 것이 분명한 상황에서 특별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겠냐"면서도 "낮아진 수가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MRI 촬영횟수를 늘리는 수밖에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도 MRI는 24시간 가동되고 있지만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며 "MRI 촬영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 대한 분석이 현재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일부 대형병원에서는 MRI 촬영횟수를 늘리기 위해 환자대기 시간 단축, 이동거리 최소화 등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MRI 촬영시간이 제한된 상황에서 촬영횟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촬영 전후 대기시간을 줄이는 방법 밖에는 없다"며 "환자들이 최대한 빠르게 순환될 수 있는 방법을 병원 차원에서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MRI 급여가 질병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뤄지면서 이에 따른 급여대상자와 비대상자의 오해의 소지를 줄이기 위해 의료진 및 직원들의 교육을 강화하는 병원들도 늘고 있다.
다른 대학병원 관계자는 "MRI 급여가 순차적으로 이뤄질 경우 비급여 대상자들의 불만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불필요한 오해를 줄이기 위해 급여전환과 관련된 사항을 의료진이나 행정지원 직원들이 설명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병원계 내부에서는 이러한 자구책들이 별다른 실효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는 자조적인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검사건수를 늘릴 경우 대규모 삭감이 뒤따를 것이라는 예상이 제기되면서 정부의 생색내기를 위해 병원을 희생양으로 삼고 있다는 불만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MRI 급여전환으로 40여억원의 손실을 예상하고 있는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현재도 MRI의 가동률은 100%를 훨씬 넘어서고 있다"며 "검사건수를 늘리기 위한 방법을 짜내고 있지만 현재 상황에서 얼마를 더 늘릴 수 있겠냐"고 털어놨다.
그는 "검사건수 늘리기로 인해 MRI 촬영에 대한 의학적 타당성 논란이 발생할 수도 있다"며 "결국 병원계의 자구책이 재정부담을 줄이기 위한 대규모 삭감으로 돌아오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