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2009년까지 어린이 전문병원 4개 건립
페이지 정보

본문
政, 2009년까지 어린이 전문병원 4개 건립
수도권 등 4개 권역…"수가 비현실" 탁상공론 우려
복지부는 공공의료 확충 계획의 일환으로 2009년까지 수도권 등 4개 권역에 어린이 전문병원을 건립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유일하다시피한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의 경우 낮은 의료수가 등으로 매년 50억원 이상의 적자를 내는 상황에서 정부의 획기적인 지원책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부실만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인제대 이기효 교수는 4일 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수행한 ‘어린이병원 확충방안 연구’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에 소아과는 많지만 전문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 전문병원은 서울대병원 등 극소수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미국과 일본은 각각 250여개, 27개 어린이 전문의료시설을 운영하고 있다”며 “어린이에 대한 고도의 전문적인 의료수요에 대응하고, 국가적인 어린이 의료시스템 구축, 전문 의료인력 양성 등을 위해 공공 어린이전문병원 설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오는 2009년까지 수도권과 전라권, 경상권, 충청권 등 4개 권역에 어린이 전문병원을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사업계획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용역을 발주해 설립방안을 마련, 공공의료 확충 계획이 마무리되는 2009년까지 권역별로 어린이병원을 세울 예정”이라고 말해 2006년경부터 공사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기호 교수는 연구보고서에서 어린이병원 운영방안으로 3차 의료기관급 어린이 종합전문병원(국가중앙어린이병원)을 설립해 독자 운영하거나 기존 3차 종합전문병원과 기능을 공유하는 방안을 제안한 상태다.
이에 대해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 최황 원장은 “어린이병원은 일반 병원에 비해 의료인력이 더 들어가지만 현재의 의료수가로 보존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신생아, 중환자에 대한 정부의 획기적인 지원이 없으면 운영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국내 유일의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은 매년 60~70억원 적자를 보고 있으며, 지방의 C국립대병원이나 B병원도 과거 어린이병원을 운영한 바 있지만 적자폭이 커지자 사실상 운영을 포기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것이다.
특히 정부가 국립대병원을 포함한 지방공사의료원을 독립채산제로 전환키로 한 상황에서 소아 관련 수가의 현실화를 포함해 정상적인 진료 환경을 마련하지 않은 채 권역별 어린이병원 설립과 같은 양적 확충에 들어간다면 오히려 소아환자의 고통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복지부 관계자는 “현재 어린이병원은 수가체계나 인력, 시설, 진료시간 등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흑자를 내기 어려운 것으로 안다”면서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진 않았지만 어린이 전문병원을 짓더라도 수익성 위주로 운영하지 않고 국가의 책임을 강조하는 방식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창욱기자 (dha826@dailymedi.com)
2004-05-04 23:33
수도권 등 4개 권역…"수가 비현실" 탁상공론 우려
복지부는 공공의료 확충 계획의 일환으로 2009년까지 수도권 등 4개 권역에 어린이 전문병원을 건립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유일하다시피한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의 경우 낮은 의료수가 등으로 매년 50억원 이상의 적자를 내는 상황에서 정부의 획기적인 지원책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부실만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인제대 이기효 교수는 4일 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수행한 ‘어린이병원 확충방안 연구’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에 소아과는 많지만 전문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 전문병원은 서울대병원 등 극소수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미국과 일본은 각각 250여개, 27개 어린이 전문의료시설을 운영하고 있다”며 “어린이에 대한 고도의 전문적인 의료수요에 대응하고, 국가적인 어린이 의료시스템 구축, 전문 의료인력 양성 등을 위해 공공 어린이전문병원 설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오는 2009년까지 수도권과 전라권, 경상권, 충청권 등 4개 권역에 어린이 전문병원을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사업계획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용역을 발주해 설립방안을 마련, 공공의료 확충 계획이 마무리되는 2009년까지 권역별로 어린이병원을 세울 예정”이라고 말해 2006년경부터 공사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기호 교수는 연구보고서에서 어린이병원 운영방안으로 3차 의료기관급 어린이 종합전문병원(국가중앙어린이병원)을 설립해 독자 운영하거나 기존 3차 종합전문병원과 기능을 공유하는 방안을 제안한 상태다.
이에 대해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 최황 원장은 “어린이병원은 일반 병원에 비해 의료인력이 더 들어가지만 현재의 의료수가로 보존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신생아, 중환자에 대한 정부의 획기적인 지원이 없으면 운영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국내 유일의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은 매년 60~70억원 적자를 보고 있으며, 지방의 C국립대병원이나 B병원도 과거 어린이병원을 운영한 바 있지만 적자폭이 커지자 사실상 운영을 포기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것이다.
특히 정부가 국립대병원을 포함한 지방공사의료원을 독립채산제로 전환키로 한 상황에서 소아 관련 수가의 현실화를 포함해 정상적인 진료 환경을 마련하지 않은 채 권역별 어린이병원 설립과 같은 양적 확충에 들어간다면 오히려 소아환자의 고통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복지부 관계자는 “현재 어린이병원은 수가체계나 인력, 시설, 진료시간 등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흑자를 내기 어려운 것으로 안다”면서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진 않았지만 어린이 전문병원을 짓더라도 수익성 위주로 운영하지 않고 국가의 책임을 강조하는 방식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창욱기자 (dha826@dailymedi.com)
2004-05-04 23:3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